AWS가용영역 : 리전을 한번 더 분산해서 배치한 것 => 여러 개의 가용 영역이 모여서 하나의 리전을 이루게 됨AWS VPC : 사용자 전용 가상 네트워크(클라우드 안에 전용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) => 사설 아이피 주소를 가지게 됨 => 기본적으로 사설 IPv4 주소 할당리전 하나 당 최대 5개의 VPC가 가능하며, 각 리전에는 default VPC가 하나씩 존재함 | 각 리전마다 존재하는 VPC들은 아이피 대역이 겹치면 안됨실제 사용시 VPC 자체에서도 서브넷을 나눠서 사용하게 됨 => 단, 한번 나눠진 서브넷은 그 서브넷 안에서 또 쪼갤 수 없음( 서브넷을 리소스 단위로 관리하기 때문에 서브넷 내부에서 또 쪼개는걸 허용하지 않음!)서브넷을 만들면 그 서브넷에 속한 IP 중 5개는 AWS 내부 용도..

OAuth 2.0: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앱이 직접 접근하지 않고,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 토큰을 통해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증 방식인증(Authorize) : 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을 구분하고 처리하는 것Request token(토큰 요청) : 서버에서 Google 서버한테 토큰을 요청하고자 하는 단계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사용자 토근이 발급되고, 이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여러가지 정보를 구글로 부터 조회할 수 있음User login & Consent(사용자 로그인 및 동의) : 사용자는 특정 URL을 통해 Google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... 일반적인 로그인 화면과는 다르게 특정 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들이 공유된다는 화면이 뜸Authorization code(인가 코드 발급) : 로그인을 마..

CORSCORS : Cross-Origin Resource Sharing | 서로 다른 주소에 있는 서버와 웹 사이트들이 통신할 때 이를 허용하는 개념GitHub - expressjs/cors: Node.js CORS middleware프론트엔드: http://localhost:3000 | 백엔드(API): http://localhost:5000다른 출처이기 때문에, 브라우저는 자동으로 CORS 정책 검사 시행 ~> 서버가 허용하지 않으면 요청 실패 및 브라우저 콘솔에 CORS 오류가 뜸CORS 헤더프론트엔드는 서버에 실제 요청을 전송하기 전, 동일한 Path에 옵션 메소드로 요청... 이 요청은 아무런 동작 안하고 CORS 등 정보를 미리 알기 위한 Preflight 요청임Preflight Reques..
Express 미들웨어미들웨어 :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정보를 사용해서 필요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분리된 독립적인 함수Express : 자체적인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라우팅 & 미들웨어 웹 프레임워크미들웨어 함수 : 요청(req), 응답(res), 애플리케이션의 요청-응답 주기 중 그 다음의 미들웨어 함수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갖는 함수 | 일반적으로 next 변수로 표시모든 코드 실행 | 요청 및 응답 오브젝트에 대한 변경 실행 | 요청-응답 주기를 종료 | 스택 내의 그 다음 미들웨어 함수를 호출요청-응답 주기를 종료하지 않는 경우엔 next()를 호출하여 그 다음 미들웨어 함수에 제어를 전달... 그렇지 않으면 해당 요청은 정지된 채로 방치됨종류 : 애플리케이션 레벨 미들웨어 | 라우터 레벨 미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