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용어정리 일반적인 확률 사건 A가 일어날 확률 P(A)는 P(A) = 사건A/전체U 조건부 확률 조건이 있을 때의 확률... 확률의 분모가 전체가 아닌 일부분 사건 A가 일어났을 때, 사건 B가 일어날 확률은 P(B|A) P(B|A) = P(A∩B)/P(A) = (사건 A와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)/(사건 A가 일어날 확률) P(B|A) : A일 때(조건) B가 될 확률 → B만 일어날 확률 P(A∩B): A와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→ A도 B도 모두 일어날 확률 베이즈 정리는 조건부 확률 공식의 변형!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이런 느낌? 조건부 확률 예제 1 50명인 반에서 안경을 쓴 학생을 조사해보니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. 안경 O 안경 X 합계 남성 9 21 30 여성 3 17 2..
-/통계 기초
2022. 7. 13. 02: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