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do API 문서Task - 할 일을 관리하는 API GET /tasks GET /tasks/:id POST /tasksDELETE /tasks/:id PATCH /tasks/:id속성_id: string - Task 객체에 대한 고유 식별자title: string - 태스크 제목(최대 30자)description: string - 태스크 상세 설명isComplete: boolean - 태스크 완료 여부createdAt: string - 객체가 생성된 시점에 타임스탬프... YYYY-MM-DDTGG:MM:SS.SSSZ 사용, 자동 생성 필드updatedAt: string - 객체가 수정된 시점에 타임스탬프 ... YYYY-MM-DDTGG:MM:SS.SSSZ 사용, 자동 생성 필드목록 조회엔드..

REPL :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읽고(Read), 그 결과값을 구한 다음(Eval), 결과값을 출력(Print), 이 과정을 반복(Loop) | 짧은 코드 테스트 시 유용모듈이란? 전체를 이루는 부품 하나하나경로에 파일 이름만 적어도 됨 | 모듈 경로는 정확히 적어야 함 | require함수가 리턴하는 객체는 상수로 대입하는게 좋음(let → const) | 변수, 객체, 함수 모두 공개 가능// math-tools.jsfunction add(a, b){ return a + b;}// add함수를 외부로 공개exports.add = add;// main.js// require(): 모듈을 로드하는 함수let m = require('./math-tools');console.log(m.add(1, ..
async/await란? async(asynchronous) : 함수 안에 비동기적으로 실행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림 → await이 있는 코드 & 함수에 Promise객체를 리턴하는 부분이 있다는 뜻await : 그 뒤에 코드를 실행하고, 그 코드가 리턴하는 Promise객체가 fulfilled/rejected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림... 해당 객체가 fulfilled 상태가 되면 그 작업성공결과를 추출해서 리턴함 | async 안에서만 사용 가능async 함수 안의 코드가 실행되다가 await을 만나면, 일단 await 뒤에 코드가 실행되고, 코드의 실행 흐름이 async 함수 바깥으로 나가서 나머지 코드를 실행 → 그 이후엔 await 뒤에 있던 Promise객체가 fulfilled 상태가 되기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