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닉스 폴더 구조와 파일 경로트리 구조최상단에 있는 디렉토리를 root라고 함상위 = 부모 디렉토리하위 = 자식 디렉토리pwd, cd, ls//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출력(Print Working Directory)pwd// 디렉토리 이동(Change Directory)cdcd - //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//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 출력 (List)lsls -all 또는 ls -a // 모든 파일 출력ls -l // long format | 파일 종류, 권한, 소유자, 수정시간 등 추가 정보 출력 절대경로 상대경로절대경로) root 디렉토리 기준으로 경로를 나타냄상대경로) 현재 자신이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 기준으로 경로를 나타내는 것 | 현재 디렉토리를 .으로 표시파일, 디렉토리 이름에 공백이 있..

날짜 명령어date: 현재 시간 출력cal: 달력 출력// 특정 년월 달력 출력cal [월] [달]// 어떤 날이 1월 1일부터 몇 번째 날인지cal -j [월] [달]// 특정 연력 출력cal -y [연도] 커맨드 매뉴얼: manman [명령어]↑&↓: 한줄씩 올라가고 내려가기Space, f: 페이지 단위로 내려가기b: 페이지 단위로 올라가기 터미널에서 알아두면 좋은 것위쪽 방향키: 전에 사용했던 명령어 사용Ctrl + A / E : 처음/맨뒤로 커서 이동Alt + ← (맥에서는 Option + ←) : 단어 단위로 이전 방향으로 커서 이동(→ 하면 다음 방향으로 커서 이동)Ctrl + C: 입력 취소 / 작업 취소clear: 터미널 내용 지우기(이전에 실행했던 히스토리는 남아있음)tab: 자동 완성
물리적 모델링: 실제 만들 DB에 가장 가깝게 데이터 모델을 만드는 과정 네이밍: 어떤 규칙을 정하는 것 보다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단수/복수 정하기대문자/띄어쓰기 정하기줄임말 정하기데이터 타입: 각 컬럼이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는지에 대한 내용 | DB의 가장 기본적인 제약사항숫자형 타입정수형타입: TINYINT(-128~127) | SMALLINT(-32768~32767) | MEDIUMINT(-8388608~8388607) | INT( -2147483648 ~ 2147483647) | BIGINT(-9223372036854775808 ~ 9223372036854775807)실수형타입: DECIMAL(M, D) | FLOAT | DOUBLE날짜 및 시간 타입DATE: YYYY-MM-DDDATE..
데이터베이스 이상현상(anomaly): DB에서 삽입, 삭제, 업데이트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경우 | 데이터 모델링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에 발생삽입이상) 새로운 데이터를 자연스럽게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업데이트이상) 데이터 업데이트시 정확성을 지키기 어려워지는 경우삭제이상) 원하는 데이터만 자연스럽게 삭제할 수 없는 경우정규화(Normalization): 테이블을 정규형에 맞게 만들어나감 | DB에서 삽입, 삭제, 업데이트 이상을 없앨 수 있음 1NF(제1정규형): 테이블 내 모든 로우의 모든 컬럼 값들은 나눌 수 없는 단일 값이어야 함한 컬럼에 같은 종류의 값을 여러 개 저장하고 있을 때: 해당 컬럼을 하나의 테이블로 분리해 모델링한 컬럼에 서로 다른 종류의 값을 여러 개 저장하고 있을 때: 한 컬..